티스토리 뷰
[ InfluxDB 2.x 버전 설치 방법 ]
InfluxDB 는 공식문서가 잘되어 있으므로, 공식문서를 참고하면 활용할 수 있는 것들이 많다.
1. influxdb2.x 다운로드
공식 사이트에서 자신에게 맞는 설치 파일을 다운로드 받는다.
( 여기서는 influxdb2.1, windows 환경으로 설치파일을 다운로드 받는다. )
https://docs.influxdata.com/influxdb/v2.1/install/
※ influx 2.1 버전은 influxdb 와 influx CLI를 분리하였다. 따라서 CLI를 사용하고 싶은 경우, 별도로 inlflux CLI를 설치해야 한다.
- influxdb : TimeSeries Data 를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 시스템
- influx CLI : command line 에서 influxdb를 관리할 수 있는 툴
2. influxdb 2.1 설치
다운로드한 파일을 확인하면 influxd.exe 파일이 포함되어 있을 것이다. 해당 파일을 실행한다.
첫 실행일 경우, Windows에서 알수없는 파일로 인한 방화벽 알림이 뜨는데, 이를 허용해준다.
influxdb를 사용하기 위한 설정을 진행하는데, influx에서는 2가지를 제공한다.
- UI Setup
- CLI Setup
여기서는 UI Setup으로 진행한다.
influxd.exe 을 실행한 후, localhost:8086에 진입힌다.
"Get Started" 를 선택한 후, 필요한 정보를 입력하고 "Continue" 를 선택한다.
- Bucket: Bucket은 Influxdb2.x 부터 나오는 용어로 time 기반의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에 retention policy를 포함하는 용어이다. 즉, Influxdb1.x 에서 database, retentionpolicy 따로 존재하던 것을 통칭해서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바뀌었다고 생각하면 된다.
다음화면에서 바로 시작할지, influxdb 에 연동되는 툴을 연결할지, 나중에 설정할지를 선택하는 화면이 뜨며, 현재 당장 연결할 도구는 없으므로 "Configure Later"를 선택한다. (여기서부터는 각자 사용하고자 하는 작업을 진행하면 될 것이다.)
처음 User 설정하면서 작성한 bucket 명이 아래에 쿼리 작성할 수 있게 생성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.
'influxdb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influxdb] influxd 의 config 파일 설정 (0) | 2022.05.24 |
---|---|
[influxdb2.1] measurement, tag key, tag value 조회 (0) | 2022.01.26 |
[influxdb] API 를 이용하여 influxDB 접근 방법 (0) | 2022.01.14 |
[influxdb] 생성한 measurement 삭제하는 방법 (influxCLI) (0) | 2022.01.14 |
[influxdb] Query InfluxDB with Flux (0) | 2022.01.14 |